북한의 환경체계 및 21世紀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17:26
본문
Download :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세기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hwp
이에 따라 1972년 김일성 주석은 공해현상과 유독성물질의 강·하천 투기에 대한 대책마련을 지시하였고, 1976년에는 국토개발로 인한 environment(환경) 파괴를 시정하면서 절대경지면적의 확장과 강하천 유역의 개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 그리고 절대경지면적의 무절제한 이용·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자연개조 5대방침」(관개사업, 토지요약개량사업, 다락밭건설사업, 홍수피해방지를 위한 치산치수사업, 간석지개발사업)을 채택하였으며, 이듬해 「토지법」으로 법제화하였다.
(3) 1970년대 : 법제정을 통한 체계화
70년대에 접어들면서 북한에서는 공업화 및 중공업 중심의 산업화로 토지, 강·하천, 항만, 호소 등이 서서히 오염되기 스타트하였다.
공업화로 인한 무질서한 개발로 대기 및 수질오염 등 산업공해가 심각해지고 그로 인해 environment(환경) 문제가 공론화 됨에 따라 사회주의 국가건설goal(목표) 와 관련하여 environment(환경) 정책의 방향을 수립하였는데 첫째, 의복문제해결을 위해 섬유의 원료가 되는 산림자원의 조성과 보호 둘째, 강력한 남벌단속 셋째, environment(환경) 오염과 파괴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관리사업과 국토건설계획을 종합적이고 통일적으로 진행할 것이 촉구되었다.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론
Ⅱ. environment(환경) 정책
Ⅲ. environment(환경) 행정
Ⅳ. 북한environment(환경) 정책의 drawback(걸점) 및 the twenty-first century environment(환경) 정책방향
Ⅴ. conclusion
(2) 1960년대 : environment(환경) 문제 제기
이 시기는 제1차 7개년 계획기간으로 전면적 공업화의 시기로 볼 수 있으며 국민경제에 있어 공업의 비중이 크게 높아져 농공업총생산액중 공업생산의 비중이 34%(1956년)에서 74%(1969년)으로 증가되었다.북한의환경체계및21세기환경정책방향에관한연구 ,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세기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世紀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世紀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세기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토지법에서는 국토건설총계획에 따라 국토건설을 계획적으로 추진할 것을 원칙으로 하여 토지의 요약·개량·보호·개간이용을 위한 방향과 대책, 산림조성의 방향과 산림의 보호·이용대책, 동·식물의 보호대책, 천연기념물…(skip)
순서
북한의환경체계및21世紀환경정책방향에관한연구
Download : 북한의 환경체계 및 21세기 환경정책방향에 관한 연구.hwp( 87 )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 시기에 중공업, 경공업 산업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었으며, 공업구조의 식민지성 파행성, 기형성이 改善되었다
또한 농업부문에서도 농업의 수리화, 기계화, 과학화를 기본으로 하는 농업기술혁명이 수행되어 관개농업이 실현되었고 저수능력과 양수능력이 크게 증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