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봉사와 직장인의 예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6:33
본문
Download : 친절봉사와 직장인의 예절.hwp
공자의 ‘인’ 자체가 ‘정’의 세계이고, 동양의 文化(문화)는 ‘정’의 文化(문화)이며, 동양의 공동사회는 ‘정’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은 아직도 한국사상의 큰 물줄기이고 ‘정’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참다운 인간관계의 본질이다.
서비스가 곧 정이라는 뜻에서 서비스를 만남(encounter)의 상징으로도 본다. 서비스의 심리적인 뜻은 손님에게...
Download : 친절봉사와 직장인의 예절.hwp( 28 )






,인문사회,레포트
서비스 정신이 경영이념이라면 심리 서비스는 경영실무에 해당된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친절봉사와 직장인의 예절
서비스의 본질은 커뮤니케이션(情) 서비스 정신이 경영이념이라면 심리 서비스는 경영실무에 해당된다. 서비스의 심리적인 뜻은 손님에게... , 친절봉사와 직장인의 예절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서비스의 본질은 커뮤니케이션(情)
서비스 정신이 경영이념이라면 심리 서비스는 경영실무에 해당된다된다.
서비스의 심리적인 뜻은 손님에게 기쁨, 모성애같은 애정, 심리적 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서비스는 곧 ‘마음’이요, ‘정’(情)이다.
아무튼 ‘정’은 붙는 것, 통하는 것이며, 서비스는 마음과 마음을 주고 받는 …(省略)
서비스의 본질은 커뮤니케이션(情)
다.
또한 맹자의 비유를 보면, 유가의 근본정신은 순수한 인간의 ‘정’이니, 어린 아이가 모르고 우물에 엉금엉금 기어가는 것(入井)을 보고 달려가서 건질 수밖에 없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의 자연적 발로 또한 인간의 생구(生具)한 ‘정’이라고 했다.
그래서 인간은 인간과의 만남, 물건과의 만남, 시스템과의 만남이 있는데 이 때 마음속 깊이 와 닿는 ‘정’과 같은 것이 서비스라고 표현하고 있다
만일 日本(일본) 자본주의 사상이 충(忠) 사상이라면, 한국의 그것은 인(仁) 사상 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