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전세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5:44
본문
Download : [법학] 전세권_3254487.hwp
2. 전세권의 법률적 성질
(1) 타인의 부동산에 관한 권리 전세권은 타인의 부동산을 그 용도에 따라 사용-수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법학] 전세권
Download : [법학] 전세권_3254487.hwp( 39 )
다.[법학]전세권 , [법학] 전세권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민법의 주요 주제인 `전세권`에 대상으로하여 일목요연하게 說明(설명) 하고 있는 글입니다. 즉 전세권의 기본성질은 용익물권이지만 담보물권으로서의 성질도 함께 가지고 있는 물권이다.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1.gif)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2.gif)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3.gif)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4.gif)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5.gif)
![[법학]%20전세권_3254487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C%A0%84%EC%84%B8%EA%B6%8C_3254487_hwp_06.gif)
[1] 전세권의 의의와 성질
1. 전세권의 의의
2. 전세권의 법률적 성질
[2] 전세권(傳貰權)의 취득
[3] 전세권의 존속기간
1. 최장기간
2. 최단기간
3. 계약의 갱신(更新)
4. 법정갱신(法定更新)
5. 존속기간(存續期間)의 등기
6. 전세권의 소멸통고
[4] 전세권자의 사용-수익권
1. 목적부동산의 사용-수익
2. 상린관계(相隣關係)의 준용(제319조)
3. 물권적 청구권(物權的請求權)
[5] 전세권의 처분
1. 처분의 자유
2. 전세권의 양도
3. 전전세(轉傳貰)
4. 전세권자의 책임
[6] 전세권의 소멸
1. 전세권의 소멸사유
2. 전세권 소멸의 效果(효과)
3. 부속물의 수거 및 매수청구권
4. 유익비상환청구권
[1] 전세권의 의의와 성질
1. 전세권의 의의
전세권은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그의 용도에 따라 사용-수익하는 용익물권임과 동시에 전세권이 소멸하면 목적부동산으로부터 전세금의 우선변제(優先辨濟)를 받을 수 있는 효력까지 인정되는 물권(物權)이다. 목적부동산은 반드시 1필의 토지-1동의 건물임을 요하지 않으며, 그 일부라도 좋다. 다만 농경지는 전세권의 목적이 되지 못한다(제303조 ②).
(2) 전세금(傳貰金)
1) 전세금의 지급은 전세권의 요소이다(제303조 ①).
[주의] 부동산등기법상 전세금은 등기하여야 하며 등기된 전세금에 한하여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아
2) 전세금이 목적부동산에 관한 조세-공과금 기타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定義(정이) 변동으로 상당하지 않게 된 때에는 당사자는 장래에 대하여 그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아 그러나 …(To be continued )
[법학]전세권
,법학행정,레포트
민법의 주요 주제인 `전세권`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